1년에 단 하루!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에게 거짓말이 허용되는 날이 있습니다. 바로 4월 1일 만우절입니다. 때론 지인들과의 시시콜콜한 거짓말로, 때론 대기업의 엄청난 스케일을 동반한 거짓말로 매년 우리에게 재미를 선사합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는 만우절!
혹시 만우절의 유래에 대해 알고 계셨나요? 그리고 국내와 해외의 가장 충격적인 만우절 이벤트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만우절에 대한 재미 있는 사실들을 가져왔습니다.
“만우절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만우절에 대한 유래는 여러 설이 많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중세시대 유럽입니다. 16세기 무렵, 유럽에서는 1년의
시작을 부활절로 여겼는데 그 날짜가 3월 25일에서 4월 20일까지 해마다 들쑥날쑥 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프랑스의 샤를 9세가 1564년에
1월 1일을 새해로 선포하게 됩니다.
하지만 당시 통신망이 좋지 못해 선포 후에도 그 사실을 몰랐던 사람이 생겨났고, 심지어 아일랜드의 구교도들처럼 바뀐 사실을 알면서도 무시한 사람들이 있었죠. 이런 사람들에게 날짜가 바뀐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비웃으며 놀리는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만우절의 기원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만우절이 시작된 프랑스에서는 만우절에 속는 사람들을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4월의 고등어’라는 뜻인데, 이렇게 부르는 이유는 당시 4월에 고등어가 유독 잘 낚이는 것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나라에도 만우절과 비슷한 날이 있었는데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첫 눈 내리는 날에는 가벼운 거짓말을 해도 용서가 되는 날이었다고 합니다. 농경사회였던 당시 첫 눈은 보리 농사에 필수였기 때문에 눈이 내리면 온 나라가 축제를 벌이고, 그런 와중에 누군가가 장난으로 거짓말을 해도 다 용납이 되는 사회였습니다. 이 때 하던 거짓말은 첫 눈을 상자에 담아 다른 사람에게 선물로 속여 전하는 방식이었는데요. 만약 선물인 줄 알고 속아 상자를 열어보면 속은 사람이 선물을 보낸 사람에게 한 턱 내는 방식입니다. 반대로 속지 않을 경우엔 선물을 보낸 사람이 한턱을 쏴야 하죠.
“국내와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만우절 거짓말”
이렇듯 지인과의 농담은 가볍게 받아들일 수 있지만 거짓말의 스케일이 커지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만우절 거짓말로 인해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움직이기도 했고 한 회사의 주식이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국내와 해외의 엄청난 스케일의 거짓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선 국내에서는 지난 2010년, 언론사인 <한겨레>의 ‘조용팔’이라는 필자가 전설적인 밴드인 비틀즈의 멤버, 폴 메카트니가 사망했다는 만우절 기사를 올렸습니다. 만우절 기사 치고는 비틀즈에 관련된 여러 역사적 사실들을 아주 교묘하게 엮어서 보도했는데요. 이 기사로 인해 국내의 수많은 비틀즈 팬들은 큰 슬픔에 빠졌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사의 부제가 바로 ‘100비트 필자의 만우절 가상 특종’인데요. 부제의 글씨가 작아 무심코 스크롤을 내려 읽지 못하는 점을 활용한 만우절 기사였습니다.
해외의 만우절 장난 중 ‘최악의 거짓말’로 평가되고 있는 거짓말은 2003년에 일어났습니다. 그 거짓말은 바로 ‘마이크로 소프트 회장 빌 게이츠 피살’인데요. 한 개인이 만우절을 기념해 CNN의 홈페이지와 유사한 페이지를 만들어 빌 게이츠가 피살됐다는 거짓 뉴스를 게재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방송국들은 이 허위 사이트에 낚여 아무런 확인절차 없이 그대로 보도해버리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납니다. 뒤늦게 만우절 장난인 것을 알게 되자 모든 방송국의 대규모 오보 소동이 일어났지만, 이 거짓말로 인해 종합주가지수가 9포인트씩이나 하락해버리며 현대 역사상 최악의 거짓말이 되었답니다.
“만우절은 마케팅 업계의 축제의 날!”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케팅이 활발한 최근에는 기업의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다양한 만우절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날만큼은 격식을 파괴하고 진짜 같은 신제품을 소개하기도 하며, 심지어 경쟁사와 손을 잡고 협업을 하기도 하는데요. 마케팅 업계의
만우절 이벤트를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시청과 도청 등 국가 행정기관의 공식 소셜 미디어는 항상 격식 있고 딱딱한 문체를 유지하는데요. 단 하루, 만우절은 예외입니다. 지난 2013년 4월 1일, 고양시 공식 트위터에는 “안녕하세요. 전라북도 공식 트위터 계정입니다 #쿨럭”이라는 짧은 글이 올라왔습니다. 만우절을 맞이해 고양시가 전라북도 공식 트위터로 바뀌는 만우절 이벤트를 진행한 것인데요. 과감하게 격식을 파괴한 국가 행정기관의 소셜 미디어 글은 순식간에 엄청난 반응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외에도 2014년에는 고양시와 순천시의 페이스북을, 그리고 우정사업본부와 대한민국 경찰청 페이스북을 서로 바꿨습니다.
라면 제조업체인 ‘팔도’에서는
지난 2015년, 주력제품인 <팔도 비빔면>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된다고 예고했는데요. 그 신제품은 바로 1.5배 용량의 팔도 비빔면입니다. 팔도 비빔면을 먹어본 사람이라면 ‘하나만 먹기엔 부족하고 두 개를
먹기엔 너무 많다.’는 생각에 모두가 공감하실 텐데요.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만우절 마케팅을 실행했고 반응은 폭발적이었습니다. 또한 2017년에는 팔도 비빔면의 양념인 <팔도 만능비빔장>을 출시한다고 밝혔는데요. 이 소식 역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재미 있는 사실은 <팔도 만능비빔장>은 이러한 반응에 힘입어 ‘실제로’ 현실화되어 출시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팔도에서는 만우절을 앞두고 신제품 <팔도 비빔밥> 출시를 예고했습니다. 과연 <팔도 비빔밥>도
엄청난 성원에 힘입어 제품으로 출시될까요?
경쟁사와의 협업 역시 굉장히 파격적입니다. 각 기업의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는 경쟁사를 언급하는 것을 터부시하는데요. 이런 분위기를 깨고 G마켓은 지난 2016년,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11번가와 연애 중> 상태를 띄웠습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서로 농도 짙은 애정을 표현하는 댓글도 달았습니다. 이 광경을 지켜본 수많은 팔로워들은 터져 나오는 폭소를 참지 못했는데요. 이 이벤트는 2016년 만우절 이벤트 중 가장 흥미롭고 파격적인 이벤트가 되었습니다.
“도를 넘지 않는 거짓말로 만우절을 즐기자!”
만우절이 되면 뉴스를 통해 경찰서와 소방서가 장난전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지나친 장난과 농담은 오히려 서로의 의를 상하게 할 수 있고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는데요. 올해 SKC 임직원 분들의 만우절은 어땠나요? 가벼운 농담으로 올해 만우절을 보내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