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대표이사 이완재)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인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습니다. 투명PI 필름은 유리처럼 표면이 딱딱하면서도 접히며 여러 번 접혀도
자국이 남지 않는데요. 이에 폴더블, 롤러블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에서 기존의 커버 유리를 대신할 수 있는 소재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SKC는 12월 27일 오후 서울 본사에서 이사회를 열고 투명PI 필름 사업화에 68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19년 7월까지 진천공장에 신규설비를 도입하고 2019년 10월 상업화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SKC에서 투명PI 필름을 만들면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에서 고경도 코팅 등 필름
가공을 담당합니다. 이를 위해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에서도 170억원을 별도로 투자할 예정입니다. 2021년 이후 시장 점유율을 30% 이상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현재 투명PI 필름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진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인데요. 이중에서도 SKC는 사업 경쟁력 측면에서 여러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우선 SKC는 투명PI 필름 제작공정을 유색PI 필름의 것과 유사하게 고안했습니다. 유색PI 필름을 개발하고 양산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경험이 있는 SKC로선
생산공정이 익숙합니다. 따라서 양산 초기에서 생기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조기에 양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랫동안 쌓아온 광학용
필름 생산 노하우, 그리고 국내 제일의 필름가공업체인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의
기술력이 있습니다. 기기의 커버유리를 대체하는 투명PI 필름은
특성상 투명도, 결함 수준이 매우 중요한데요. 필름 제조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을 만들어온 SKC의 노하우가, 가공
단계에서는 스마트폰용 글래스 데코레이션 필름 등 난이도가 높은 제품을 만드는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의
기술력이 투명PI 필름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SKC는 이번 사업 진출이 SKC 필름사업
재편에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이용선 SKC 필름사업부문장은
“내년부터 필름사업부문을 인더스트리소재사업부문으로 개편하고, PET 필름
중심에서 벗어나 투명PI 필름, PVB 필름, 광학용 소재 등 미래 산업이 요구하는 고기능성 소재로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갈 것”이라며 이어 “SKC 하이테크앤마케팅 지분 인수 등 그 동안 준비해온
재편 노력이 조기에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