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면맨위로

Advisory 그룹 세미나 ‘신기능 고분자 소재와 응용’

2018.11.01

10 31일 본사 6층에서신기능 고분자 소재와 응용을 주제로 Advisory Group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기술정보서비스(KTIS)의 김현준 대표가 감성화 기술이 반영된 고분자 소재 기술에 대해 소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고분자 소재는 성형 가공성이 높고, 다양한 재질 선택이 가능해 설계 난이도가 높은 제품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감성화 기술을 접목하는 것도 용이한 편입니다. 김 대표는 강의를 통해 이러한 소재의 특성을 기반으로, 실제 감성화 기술을 구현된 사례와 국내외 연구 동향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사전 인터뷰를 통해, 고분자 소재와 감성화 기술에 대해 정리한 Q&A입니다.)




Q. 고분자 소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그리고 고분자 소재가 어떤 제품에 활용되는지 궁금합니다.


A. 고분자는 플라스틱을 지칭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과학적으로 설명한다면단량체(Monomer)가 일정한 환경(=중합조건)을 갖게 되면 서로 연결이 되는데이 때 긴 사슬로 연결된 중합체를 고분자라고 합니다.

이 소재는 금속이나 세라믹에 비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해 다양한 제품의 설계하는데 쉽게 적용이 가능합니다일반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등 범용 플라스틱폴리카보에이트(PC)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그리고 고기능성 플라스틱으로 구분 됩니다이러한 고분자 소재는 전자제품의 외장재자동차 내장재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최근 생분해성 플라스틱에도 그 용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Q. 감성화 기술이란 무엇이고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감성화 기술이 적용된 제품군(또는 산업군)은 어떤 것일까요?


A. 감성화 기술은 변화된 미의 기준과 관계가 있습니다예전에는 미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가 황금비율 이었는데요최근에는 미의 기준이 황금비율을 아름답게 깨뜨린 개성적인 비율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입니다이런 개성을 보여주는 건축물로 3차원의 비정형 건축물로 유기적인 구조의 디자인으로 건축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감성화 기술은 이러한 미의 기준 변화와 인간의 오감에서 느낄 수 있는 만족감설렘 등을 제품에 적용하는 기술입니다물론 감성이라는 개인마다 다른 기준을 갖고 있습니다때문에감성화 기술은 인간의 오감과 연계되는 부분을 수학적으로 변환시키고이를 제품의 디자인 요소로 활용해 고객이 느끼는 감성의 품질이 개선되도록 전개되고 있습니다.

감성화 기술이 적용된 사례로는 자동차 내장표피 소재(합성피혁 등)와 핸드폰 케이스 등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먼저 자동차 내장 소재는 일본 닛산 자동차가 합성피혁 등의 내장재를 평가하는 계측 기술을 특허로 등록했습니다. 또한 핸드폰의 케이스는 플라스틱 표면을 처리해 금속재질로 보이게끔 하는 데요. 이 부분이 바로 일상에서 감성화 기술이 적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대표님이 말씀하셨듯이 감성화 기술은 정성적으로 분류되는 기술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정량화가 가능하고 구현이 될 수 있을까요?

 

A. 감성화 기술의 정량화는 총 3단계로 이뤄집니다. 감성을 나타내는 어휘간의 상관계수를 도출하는 것이 첫 번째 이며, 그 다음엔 계수와 디자인 요소와의 연관성을 표시하는 이미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두 번째 단계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이렇게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각, 청각, 촉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반영된 제품을 설계하게 됩니다. 쉽게 설명한다면, 감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어휘 들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로 만들어 물리적으로 제품이 구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소재의 감성화 기술을 구현하는 데에는 공학은 물론, 인문예술, 통계 등 학제간의 융합이 필요합니다.

 

Q. 고분자 소재에 적용되는 감성화 기술은 다른 소재 및 산업군에 적용된 감성화 기술과 어떤 차별점이 있을까요?

 

A. 고분자 소재는 앞에서 소개한 대로 가공이 용이하고 재질을 다양하게 변환시킬 수 있어, 난이도가 높은 제품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성비가 우수한 소재입니다. 때문에, 감성화 소재의 많은 부분을 고분자 소재가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의 발전 전망도 밝은 편입니다. SKC의 필름 및 화학소재제품에도 고감성화 기술을 적용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이 상당부분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